국민은행 햇살론17 – 고금리 대출을 이용하신다면 대환대출 하세요

'햇살론17'이 '햇살론15' 상품으로 변경되었습니다. 2021년 7월 7일부터 시행된 법정최고금리인하에 따른 금리변동을 반영해 상품의 금리를 기존보다 2%p 내려 15.9%로 출시했습니다.

국민은행 햇살론17 상품은 국민행복기금의 신용보증을 통해 고금리대출을 대환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과거에는 바꿔드림론이 서민을 대상으로 한 대환대출의 대명사 역할을 했습니다. 그러나 그 상품이 폐지되고 햇살론 17이 고금리 대안자금의 명맥을 잇게 되었습니다.

국민은행 햇살론17은 제도권 금융을 이용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한 저소득·저신용자를 위한 상품입니다. 즉, 20%가 넘는 고금리 대출을 이용해야만 하는 분들이 국민행복기금의 보증을 통해 비교적 낮은 금리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상품은 1금융권대출입니다. 평소 1금융의 문턱을 넘기 어려운 분들이더라도 이 상품은 충분히 도전해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다른 서민대출 상품의 하나인 햇살론은 KB저축은행에서 취급합니다. 혼동 없으시길 바랍니다.

국민은행 햇살론17 자격

국민은행 햇살론17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소득과 신용요건부터 확인해야 합니다. 일단 연소득이 3천 5백만원 이하인 경우는 통과입니다. 그러나 연소득이 4천 5백만원 이하로 조금 더 높다면 신용평점이 하위 20%에 해당하는 저신용이어야 합니다.

또한, 직업과 소득이 있는 만 19세 성인 중에서 국민행복기금의 신용보증서 발급이 가능해야 합니다. 근로소득자와 사업소득자는 재직이나 사업영위기간이 3개월 이상인 경우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사학연금 중 하나를 받는 연금소득자의 경우는 연금수령 1회 이상이면 이용이 가능합니다.

대출한도, 기간 및 상환방법

국민은행 햇살론17의 대출한도는 최소 50만원부터 최대 7백만원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햇살론17 특례보증을 이용할 경우에는 최대 1천 4백만원으로 한도가 늘어납니다. 특례보증은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통해 신청해야 합니다. 특례보증으로 대출을 신청하려면 국민행복기금 신용보증승인접수증 발급일로부터 30일 이내 해야 합니다.

대출기간은 3년 또는 5년 중에서 선택할 수 있고, 상환방법은 거치기간 없이 원리금균등분할 방식으로 상환하게 됩니다.

국민은행 햇살론17 금리

국민은행 햇살론17의 금리는 현재 17.9% 입니다. 1금융권대출 치고 금리는 높은편입니다. 그러나 법정최고금리가 현재의 24%에서 2021년 7월부터 20%로 인하되면 햇살론 17의 금리도 2% 내려갈 예정입니다.

성실상환자는 매 1년마다 국민행복기금 보증료율이 인하되어 금리가 낮아지게 됩니다. 대출기간이 3년이면 1년마다 연 2.5%p씩, 5년이면 연 1%씩 인하됩니다. 또한, 햇살론17을 추가·반복해서 이용하면 금리를 더욱 낮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대출금 지급방법

대출금은 생계자금과 대환자금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이 가능합니다. 생계자금의 경우에는 고객 본인 명의의 국민은행 예금계좌로 입금이 됩니다. 대환대출로 이용할 경우에는 신청시 작성한 ‘대환대출 채무 내역 및 송금 요청서’ 상의 해당 채권기관 명의 상환계좌로 입금됩니다.

요약정리

국민은행 햇살론17 상품은 신용과 소득이 좋지 못한 분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평소에 대부업체를 이용해야만 했던 분들도 햇살론17은 국민행복기금의 보증을 통해 1금융권을 이용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 자격: 서민금융상품 지원대상 + 직업과 소득이 있는 19세 이상 + 국민행복기금 보증서 발급 가능자
  • 한도: 700만원 / 특례보증 1,400만원
  • 기간: 3년, 5년
  • 상환: 원리금균등분할(거치기간 없음)
  • 금리: 17.9%
  • 신청: 영업점 방문신청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