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딤돌대출이란 가장 먼저 알아봐야 할 주택담보대출입니다

디딤돌대출이란 내집마련을 고민하는 서민이라면 1순위로 고려할 가치가 있는 주택담보대출입니다. 그만큼 금리가 낮고, 장기간의 고정금리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요즘같이 집값이 고공행진을 펼치고 있는 때에는 본인이 가지고 있는 돈으로 내집마련을 할 수 있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있을까요? 바로 이럴 때 필요한게 바로 디딤돌대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디딤돌대출이란?

디딤돌대출은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운영하는 정책모기지입니다. 2014년 이전에는 주택도시기금과 금융공사가 이원화해서 운영하다가 금융공사가 통합해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디딤돌대출의 기본 취지는 무주택 실수요자의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공공기금을 통해 내집마련을 돕는 것입니다. 따라서 본인의 조건에 따라 충분히 매력적인 금리가 나올 수 있게 됩니다.

왜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까?

가장 중요한 점은 대출금리가 싸다는 겁니다. 이해가 쉽도록 시중 은행의 주택담보대출과 한번 비교해볼까요?

2021년 3월 기준으로 은행권의 주택자금대출은 2% 중반에서 후반대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디딤돌대출의 기본금리는 부부합산 소득수준과 대출기간에 따라 1.85~2.40%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만약 생애최초로 집을 구입하려는 신혼부부라면 금리는 1.55%~2.1% 사이로 받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우대금리까지 받게 되면 최대 1.5%라는 어마어마한 금리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됩니다.

이해를 돕기위해 디딤돌대출에 우대금리를 받아 은행권의 주택자금대출보다 1%p 저렴하게 대출을 실행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 경우에 얼마나 이자가 줄어들 수 있을까요? 만약 2억원을 주담대로 빌린다고 했을때 1% 이자는 1년간 2백만원이 됩니다. 1달에 갚아야 할 이자로 계산하면 약 17만원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결코 적은 돈이 아닙니다.

또한 디딤돌대출은 최대 30년까지의 고정금리나 5년 단위의 변동금리로 비교적 안정적으로 대출을 갚아나갈 수 있다는 장점 또한 가지고 있습니다.

단점은 까다로운 자격조건

이처럼 디딤돌대출이란 장점이 많은 공적대출 상품입니다. 누구나 디딤돌대출을 받을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하지만 지원대상이 무주택 서민을 위한 상품이기 때문에 디딤돌대출의 자격조건은 까다로운 편입니다.

일단 주택이 있으면 안되고, 부부합산 소득과 자산수준도 일정범위에 들어야 합니다. 게다가 구입하려는 주택이 5억이 넘는다면 신청할 수 없고, 2억원(신혼부부 2.2억원, 2자녀 이상은 2.6억원)이라는 대출한도가 있습니다.

디딤돌대출 자격이 안된다면?

내집마련을 하는데 있어 저렴한 금리의 디딤돌대출을 이용할 수 있다면 다행이지만 그게 어렵다면 차선책을 찾아야 합니다.

이럴때는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함께 운영중인 보금자리론이 차선책이 될 수 있습니다. 자격조건과 한도에서 더 여유가 있기 때문입니다. 평균적으로 금리는 약간 더 높을 수 있지만, 상황에 따라서 우대금리를 잘 받을 수 있는 조건이라면 보금자리론의 금리가 오히려 낮을 수도 있습니다.

보금자리론과 디딤돌대출의 차이점에 대해서 읽어보시면 전반적인 대출계획을 세우시는 데 도움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또한, 디딤돌대출만으로는 한도가 부족할 경우 보금자리론과 동시에 연계해서 이용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