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금자리론 디딤돌대출 차이 9가지 비교 & 정리

보금자리론과 디딤돌대출의 차이점은 생각보다 많습니다. 따라서 신청할 수 있는 자격부터 자금의 용도, 금리 등의 혜택까지 세부적인 차이를 파악해야 본인에게 적합한 주택담보대출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물론 디딤돌대출과 보금자리론은 공통점도 많습니다. 주택금융공사에서 운영하는 상품으로 무주택 서민의 내집마련을 위한 상품이기 때문입니다.

디딤돌대출과 보금자리론의 차이점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정리해봤습니다.

보금자리론 디딤돌대출 차이점을 알아야 하는 이유

디딤돌대출이 보금자리론보다 자격조건이 더 까다롭습니다. 두 상품의 지원대상이 디딤돌대출은 무주택 서민을, 보금자리론은 중산층 이하를 컨셉으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자격조건은 더 깐깐한만큼 디딤돌대출이 일반적으로 더 낮은 금리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디딤돌대출은 대출한도가 보금자리론에 비해 낮습니다.

보금자리론과 디딤돌대출의 차이점을 알아야 하는 이유는 내가 그 상품을 신청할 수 있는지, 또 어떤 대출이 얼마나 더 좋은지를 판단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보금자리론 디딤돌대출 차이

소득기준

디딤돌대출은 부부합산 연소득이 6천만원 이하인 경우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신혼가구, 2자녀이상 가구는 7천만원 이하로 한도가 늘어납니다.

반면, 보금자리론은 부부합산 연소득 7천만원 이하의 경우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역시 신혼부부는 8천5백만원, 1자녀 8천만원, 2자녀 9천만원, 3자녀는 1억원 이하로 한도가 늘어납니다.

자산기준

보금자리론은 별도의 자산기준 없습니다. 그러나 디딤돌대출은 부부합산 순자산가액이 일정수준 이하여야 합니다.

디딤돌대출의 부부합산 순자산가액의 기준은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최근년도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소득 4분위 전체가구 평균값 이하입니다. 2020년 기준으로 3.91억원 입니다.

대상주택

디딤돌대출과 보금자리론은 구입하고자 하는 대상주택의 가격과 면적에 아래와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주택가격

디딤돌대출은 주택가격이 5억원 이하에 대해서 대출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디딤돌대출은 조금 더 여유가 있습니다. 6억원 이하의 주택에 대해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때 주택가격은 대출 승인일 기준입니다. 만약 접수할 때는 기준가격이 충족되었지만 승인기간까지 집값이 올라서 기준가격을 초과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다행스럽게도 접수일 기준으로 각 5억, 6억의 기준가격이 충족한다면 대출을 받는 데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보금자리론은 아무리 접수일에 6억 이하였더라도 대출승인일 현재 9억원을 초과하면 대출 승인을 받을 수 없습니다.

주택면적

주택의 가격에 대한 차이 뿐만 아니라 주택면적에 대한 제약도 다릅니다. 디딤돌대출은 주거전용면적이 85㎡ 이하(읍·면 지역은 100㎡ 이하)라는 조건도 있습니다. 보금자리론은 원칙적으로는 없지만, 신혼가구 전용 보금자리론에서만 디딤돌대출과 같은 기준이 적용됩니다.

자금용도

디딤돌대출은 오로지 주택을 구입하는 용도로 대출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보금자리론은 훨씬 융통성 있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보금자리론은 구입용도는 물론이고 상속이나 증여로 주택을 취득한 경우라도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존의 주택담보대출을 상환하는 상환용도 역시 가능합니다.

1주택자 가능여부

보금자리론과 디딤돌대출 모두 무주택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입니다. 하지만 보금자리론은 유주택자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기존 주택을 매도한다는 전제조건이 있습니다. 즉, 보금자리론은 집을 갈아타기 위한 일시적 2주택의 경우가 허용됩니다.

1주택자 가능여부는 앞서 말씀드린 자금용도의 차이와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출한도

보금자리론은 LTV 70% 이내에서 3억원 3.6억원(2021년 7월 1일부터 한도상향) 한도(3자녀 이상 4억원)로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디딤돌대출은 LTV 70% 이내에서 2억원 한도(신혼 2.2억원, 2자녀 이상 2.6억원)로 대출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디딤돌의 LTV는 소득추정에 의해 소득산정을 할 경우 60% 이하로 한도가 내려갑니다.

DTI는 둘 다 원칙적으로 60% 이하입니다. 하지만 보금자리론의 경우는 담보주택 소재지가 조정지역인 경우 10%p 차감하여 적용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대출기간

그동안 보금자리론과 디딤돌대출은 모두 최대 30년간 장기모기지를 활용할 수 있는 상품이었습니다. 그러나 2021년 7월 1일부터 보금자리론에 40년 만기의 고정금리 상품이 추가되었습니다. 다만 보금자리론의 40년초장기모기지 상품의 이용대상은 만 39세 이하의 청년과 혼인 7년 이내의 신혼부부라는 자격조건이 있습니다.

대출금리

대출금리는 기준 대출금리에 우대금리와 가산금리를 가감해서 결정하게 됩니다. 기준 대출금리는 디딤돌대출이 보금자리론보다 저렴합니다.

디딤돌대출 금리

공시일: 2021년 9월 1일 / 단위: 연 %
부부합산
소득수준
10년15년20년30년
2천만원 이하1.851.952.052.10
2천만원 초과 ~
4천만원 이하
2.002.102.202.25
4천만원 초과 ~
6천만원(생애최초, 신혼, 2자녀 이상 가구는 7천만원) 이하
2.152.252.352.40

보금자리론 금리

공시일: 2021년 9월 1일 / 단위: 연 %
구분10년15년20년30년40년
u-보금자리론2.82.93.03.053.1
아낌e보금자리론2.72.82.92.953.0
t-보금자리론2.82.93.03.053.1

디딤돌대출은 우대금리와 가산금리를 더한 최종금리가 1.5% 미만인 경우는 1.5%를 적용(생애최초 신혼가구만 1.5%)하고, 보금자리론은 최종금리가 1.2% 미만인 경우는 1.2%를 적용합니다.

대출종류

디딤돌대출은 종류가 크게 한가지 입니다. 그러나 보금자리론은 3가지 중에서 선택해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는 u-보금자리론과 은행에 신청하는 t-보금자리론이 있습니다. 여기에 인터넷 신청으로 금리가 0.1% 더 저렴한 아낌e보금자리론이 있습니다.

결론

지금까지 보금자리론 디딤돌대출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우선 큰 줄기를 기준으로 차이점을 나눴기 때문에 좀 더 자세한 내용은 관련 링크를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살펴보면 디딤돌이 더 저렴한 금리 등 혜택이 큰 장점이 있지만, 보금자리론이 상대적으로 자격요건의 여유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상품의 장점을 취해 디딤돌대출과 보금자리론을 동시에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