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을 평가하는 기본 틀이 2021년 1월을 기점으로 신용등급제에서 신용점수제로 전환되었습니다.
기존의 신용등급제는 개인의 신용을 1등급부터 10등급의 10구간으로 나눠 평가해왔습니다. 그러나 바뀐 신용평가점수제는 1점부터 1천점까지 점수로 신용을 평가하고 구분하게 됩니다.
일반적인 금융소비자 입장에서는 이러한 큰 변화가 마냥 달갑지는 않습니다. 처음에는 복잡하고 혼란스럽게 느껴지니까요.
사실 신용점수제 전환이 2021년 1월 1일부터 하루아침에 갑작스레 이뤄진 것은 아닙니다. 시장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2019년 1월부터 시범적으로 5개 시중은행에서 신용평가점수제를 시범적으로 적용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 초에는 신용평가사의 점수 산정에 오류가 있어 일시적으로 큰 혼란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도대체 왜 이렇게 신용평가의 근본부터 허무는 새로운 체계를 도입한 것일까요?
신용등급제 vs. 신용점수제
기존에도 신용평가사에서 신용점수는 산정하고 있었습니다. 이 신용점수를 바탕으로 신용등급이라는 포장지를 씌워 신용등급제도를 만든 것입니다. 그러나 신용등급을 10구간으로 나눈 기존의 신용등급제로는 평가의 유연함이 없는 천편일률적인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1금융권 대출은 6등급과 7등급을 기준으로 가능 여부가 나뉩니다. 만약 실제 신용점수로는 얼마 차이가 나지 않는 6등급자(신용점수 665점)와 7등급자(663점)가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1금융권 대출이 7등급자는 아예 불가능하지만, 턱걸이로 6등급을 받은 사람은 대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죠. 단 2점 차이로 말입니다.
이렇게 단 몇점의 신용점수로 등급이 나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장치가 없다면, 너무 가혹한 결과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당연히 불합리하다는 생각이 들 수 밖에 없겠죠. 이러한 점을 개선하고자 신용점수제가 탄생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신용평가점수제 전환 내용
그렇다면 어떻게 신용평등급제의 불합리한 점을 보완한 것일까요?
지금까지 금융회사는 개인신용평가회사에서 제공하는 신용등급을 바탕으로 대출이나 금리를 결정하고, 신용카드 발급여부 등의 서비스를 획일적으로 시행했었습니다. 이는 금융회사 자체적으로 신용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신용평가사에서 등급 대신에 신용점수를 제공하고 금융회사는 이를 바탕으로 자체적인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하게 됩니다. 금융사 입장에서는 신용등급이 절대적이었다면 신용점수는 더 이상 절대지표가 아닌 셈이죠. 그만큼 유동성을 가질 수 있는 운신이 폭이 생긴 겁니다.
앞서 든 예에서, 663점의 7등급은 1금융권을 이용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신용점수제라면 각 금융사마다 신용평가모델이 다르기 때문에 660점을 커트라인으로 정할 수도 있고 혹은 신용평가에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도 있게 됩니다.
이렇게 금융회사의 신용위험 관리역량이 높아지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금융소비자에게 제공한다면 저신용층의 금융접근성이 한층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른바 등급으로 커트되는 ‘문턱효과’가 줄어든 겁니다.
특히 요즘 핀테크 업체들의 활발한 금융업 진출로 인해 이러한 신용점수제 전환은 한층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따라서 카드발급이나 서민금융상품 지원 대상 등을 이용하시려는 분이라면 이와 관련된 개인신용평점 기준을 반드시 숙지하셔야 합니다.
다만, 이번 신용평가점수제 전환은 개인신용평가에만 해당됩니다. 개인사업자를 포함한 기업의 신용등급이나 금융회사의 내부신용등급은 기존과 동일하게 활용됩니다.
앞으로 바뀐 신용점수제를 바탕으로 신용거래가 필요하신 분들은 미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금융회사 자체의 다양한 신용평가모델이 적용되는만큼 본인의 노력에 따라 신용점수의 차이가 더 벌어질 수 있으니까요. 그 첫걸음으로 신용관리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신용점수 확인부터 차근차근 시작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