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살론유스는 대출한도를 한번에 다 받을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기간별 한도가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처음 대출을 실행한 후 햇살론유스 추가대출을 진행해 한도에서 남은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햇살론유스 추가대출을 하기 위해서는 보증한도의 개념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햇살론유스 보증한도에 따라 재대출이 제한되기 때문입니다.
햇살론유스 보증한도
햇살론유스 보증한도는 동일인 한도, 연간 한도, 용도별 한도로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동일인 한도
햇살론유스는 동일인이 최대 1천 2백만원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즉, 햇살론유스 동일인 한도인 1,200만원을 모두 사용하면 대출상환을 해도 이후에 다시 이용할 수가 없는 상품입니다.
예를 들어, 햇살론유스를 5백만원의 보증을 받아 사용 후에는 상환여부에 관계없이 남은 7백만원 한도 내에서만 추가대출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햇살론유스를 신청할 때는 자금이 꼭 필요한지 고민해 보시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연간 한도
보증시점 기준으로 연간 최대 6백만원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특례보증 자금은 연간 한도에서 제외됩니다.
용도별 한도
용도별 한도는 일반생활자금과 특정용도자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생활자금은 반기당 3백만원(특례보증 5백만원), 특정용도자금은 연간 6백만원이 한도입니다.
그런데 햇살론유스 특례보증 제도가 시행되면서 용도별한도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특례보증으로 신청하는 경우 일반생활자금의 한도가 5백만원으로 증가했습니다. 다만, 특례보증은 시행일 이후 신규신청자만 해당합니다. 기존의 일반보증 신청자는 특례보증으로 햇살론유스 재대출 신청을 할 수 없고 일반보증 신청만 가능합니다.
햇살론유스 추가대출과 보증한도 정리
햇살론유스 추가대출을 받기 위해 고려해야 할 조건들이 조금 복잡합니다. 추가대출을 제한하는 내용이 보증한도와 특례보증까지 서로 얽혀있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살펴본 관련 규정을 다시 정리한 후 예시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 보증한도 내에서 추가대출 가능
- 동일인 한도: 1천2백만원
- 연간한도: 6백만원
- 용도별 한도
- 일반생활자금: 반기당 3백만원(특례보증 5백만원, 연간한도에서 제외)
- 특정용도자금: 연간 6백만원
- 신청유예기간
- 일반보증: 50만원당 1개월
- 특례보증: 85만원당 1개월
- 기타: 햇살론유스는 보증실행 후 1개월 내에는 재신청을 할 수 없음
햇살론유스 추가대출 예시
조금 더 이해가 쉽도록 몇 가지 예시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시1) 만약 일반생활자금으로 3백만원을 대출했다면, 6개월이 지나기 전에는 일반생활자금을 신청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특정용도자금은 6백만원 중에서 3백만원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연간 한도 6백만원 중에서 일반생활자금으로 3백만원을 소진했고, 가능한 금액 3백만원이 남았기 때문입니다.
예시2) 특정용도자금으로 주거비를 200만원만 보증 받았다면, ‘200만원 / 50만원 = 4개월’ 로 월할 계산해서 4개월이 지난 후 잔여 한도 내에서 주거자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예시3) 3월에 특례보증으로 5백만원을 이용했다면, 소요기간 6개월 후인 9월 이후에 연간한도 6백만원(일반생활자금 3백만원, 특정용도자금 6백만원) 내에서 추가대출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특례보증은 동일인한도에는 포함되지만 연간한도에서 제외되기 때문입니다.
예시4) 햇살론유스를 신청해서 보증실행이 되었다면 바로 재대출을 신청할 수 없습니다. 최소 1개월이 지나야 다시 신청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결론: 확실하게 정리하고 혜택을 이용하자
햇살론유스는 왜 한도를 한꺼번에 대출해주지 않을까요? 한번에 받을 수 있다면, 번거롭게 재대출을 신청할 필요가 없을텐데 말이죠.
추측컨대, 대출 실행자의 입장에서는 한번에 대출을 실행하면 용도에 맞게 사용하는지 관리하기도 어렵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또한, 대출 신청자의 입장에서도 한꺼번에 목돈이 생기면 목적 외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 아닐까요?
햇살론유스 추가대출을 받기 위해서는 복잡한게 사실이지만, 혜택을 제대로 챙기기 위해서는 반드시 관련규정을 숙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