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도 몇 통씩 귀찮게 걸려오는 스팸광고전화. 특히 햇살론 대출 전화를 받아보신 분들도 계실텐데요. “정부가 지원하는 햇살론입니다~”라는 친절한 목소리의로 시작하는 ARS전화가 바로 햇살론 대출 전화죠. 그런데 조심해야 할 것은 이런 대출 전화를 잘못 받았다가는 대출사기나 보이스피싱으로 낭패를 당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금융감독원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1월부터 10월까지 대출 빙자형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월평균 133억원으로 지난해 전체 피해액 보다 18.8% 증가했다고 합니다. 이런 보이스피싱이 차지하는 비중이 전체 피해 규모의 73.5%나 된다고 하니 놀랍습니다.
햇살론 대출 전화가 사기인 이유
이들의 주요 사기 수법으로는 저금리의 햇살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금리 대출을 받아야 한다며 소비자를 현혹합니다. 바로 갚게되면 신용등급이 높아져 저금리의 햇살론을 이용할 수 있다고 속이는 것이죠. 그러나 2∼3개월 후 저금리 대출로 갈아타게 해주겠다고 한 약속은 지켜지지 않게 됩니다.
또한, 대부중개업자는 중개 수수료를 받을 수 없는데도 불구하고 저금리 대출을 알선하고 수수료를 받는 경우도 있고요.
사실 이렇게 햇살론 대출 전화는 거의 100% 사기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왜냐하면 햇살론은 먼저 대출 전화를 걸어 권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이죠. 또한, 신용등급은 그 누구도 임의로 올려줄 수가 없습니다. 즉, 신용등급을 올려주겠다는 것은 100% 사기라는 것이죠.
게다가 햇살론과 같은 서민정책자금 대출신청 승인은 본인이 직접 해당 금융회사를 방문해서 신청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방문을 거절하고 유선상으로만 처리한다고 하면 무조건 보이스피싱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특히, 신용등급을 단기간에 높여주겠다고 하거나 전산을 조작, 혹은 고위관계자 청탁 등을 통해 대출 관련 특혜를 제공한다고 하는 것은 100% 사기라는 점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상상을 초월하는 사기피해
혹시, ‘에이~ 햇살론 스팸 전화에 당하는 사람이 누가 있겠어?’ 라고 생각하는 분이 계시다면, 큰 오산입니다. 통계를 보더라도 2017년 5월부터 7월까지 보이스피싱 피해액만 무려 486억원, 피해 건수는 1만건이 넘습니다. 물론 전체 보이스피싱을 아우르는 통계치긴 하지만, 햇살론 스팸으로 인한 피해도 상당할 것으로 봅니다. 절대 방심할 수 없는 이유죠.
햇살론 대출 전화 대처방법
햇살론 스팸에 대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우선 예방적 차원에서 스팸차단 어플을 설치하거나 대출모집인 조회를 통해 대비할 수가 있습니다. 불행하게도 이미 사기를 당한 후라면 금융기관이나 경찰서에 신속히 신고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금융권 연락중지청구 시스템
두낫콜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금융상품 가입 등 마케팅 목적으로 연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두낫콜 홈페이지에서 약 200여개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원스톱 신청이 가능합니다. 단, 휴대폰 번호가 변경될 경우나 유효기간인 2년이 지나면 재등록해야 합니다.
스마트폰 스팸차단앱
요즘은 스마트폰 안쓰시는 분들을 찾기가 어려운데요. 스마트폰 어플에 발신전화를 확인하거나 차단, 스팸을 탐지하는 어플들이 많습니다. 각 스마트폰과 통신사에 알맞은 어플을 설치하시면 피해를 막는데 도움이 되겠죠. 주요 스팸차단 어플로는 ‘후후’, ‘후스콜’, ‘T전화’, ‘뭐야이번호’ 등이 있습니다. 애플의 아이폰은 앱스토어에서, 안드로이드폰은 구글스토어에서 제목으로 조회 후 설치하실 수 있습니다.
대출모집인 조회
햇살론 대출 전화를 받았다면 혹시 사기가 아닌지 확인해보세요. 바로 응하지 말고 상대방이 언급한 금융회사의 대표번호로 전화해 직원이나 대출모집인이 실제로 재직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리고 ‘대출모집인 포털사이트‘에서 실제 대출모집인이 맞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영업점 위치를 확인하고 직접 방문해 상담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확인이 안된다면… 십중팔구는 사기꾼이겠죠?
즉시 신고
만에 하나라도 사기를 당했다고 뒤늦게 판단된다면 즉시 신고해야 합니다. 경찰서(112)나 금융감독원(1332), 혹은 해당 금융기관 콜센터에 신고해 지급정지를 신청해야 합니다. 그리고 3일 안에 경찰서가 발급한 ‘사건사고 사실확인원’을 첨부해 금융사에 제출하면 됩니다. 빠른 신고만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불법사채 피해예방 10계명
- 감당하기 힘든 경제적 어려움은 가족과 함께 극복
- 일단 제도권 금융기관을 찾아 상담부터 하기
- 돈을 빨리 빌려준다는 유혹을 조심
- 거래상대방의 정체를 분명히 확인
- 계약내용을 정확하게 알고 서명·날인
- 대출 계약서 및 영수증은 꼭 챙기기
- 비정상적으로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는 업체를 조심
- 허위·과장·부실 광고를 조심
- 법정 최고금리를 초과하여 대출이자를 요구하는 업체를 조심
- 불법사채 및 대출사기 피해를 당했을 때는 즉시 신고
지금까지 햇살론 대출 전화가 사기인 이유와 햇살론 스팸 대응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모쪼록 관련 피해를 당하는 분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